11. 푸른 눈에 담긴 세상 - (5) (1)
"이 우매한 조카를 한 번만 도와주십시오, 이모님."
작센 국왕 프리드리히 1세 빌헬름은 말을 꺼내며 깊은 무력감을 느꼈다.
작센의 빌헬름, 빌헬름 폰 위튼은 왕자로 태어나지 않은 왕이었다. 그가 태어났을 무렵, 위튼 가문은 약 칠백 년 전부터 내려오는 유서 깊은 가문임에도 갈가리 찢긴 누더기나 다름없었다. 위튼의 상속법은 모든 아들에게 봉토를 나누어받을 권리를 부여한다. 수많은 공작 중 한 명이던 그의 아버지가 대가 끊어진 작센 분가들을 통합하여 왕국을 세운 것은 순전히 처가인 코시카의 덕분이었다. 빌헬름의 아버지는 모든 면에서 한심하기 이를 데 없는 인사였으나, 비극적이게도 상황을 이해하고 코시카의 옐리자베타 여대공의 완벽한 혈통에 열등감을 품을 정도의 지능을 가지고 있었다. 시운을 타고나 잘난 혈통의 아내를 얻어 곧 왕이 되리라 좋아하는 대신 아버지는 주먹을 휘둘렀다.
뿌리 없는 나라의 왕.
열등감 때문에 어머니가 죽고 아버지가 질식하는 것을 똑똑히 보며 살아온 그는 절절하게 느꼈다. 뿌리가 필요하다.
그 본인은 기댈 구석 없이 자란 대신에 평생을 뿌리 뻗기 위해 살았다. 브라운슈바이크의 마르타와 눈물을 머금고 파혼했다. 하노버의 빌헬미네와 결혼하여 귀여운 딸과 사랑스러운 아들을 낳았다. 외가 되는 코시카 황실에서 많은 제도를 모방해 왔다. 사이나쁜 친척에게 작위를 주어 입을 막고, 망명해온 이모와 그 아들에게 기대어 살 지위를 주었다. 그렇게 그의 아들과 아들의 아들과 아들의 아들의 아들들이 살아갈 나라를 만들고자 했다.
그러나 겨우 서른 남짓한 젊은 왕은 복잡하게 돌아가는 세계 지도를 보며 절망했다. 작센은 갓 왕국의 꼴을 갖춘 나라였고, 주변에서 시기하는 눈길이 적지 않았다. 그가 코시카 황제의 외손자가 아니었더라면 살점 하나 남기지 않고 뜯어먹혔을 게 불보듯 뻔했다. 제 살 길 하나 간수하기 벅찬데 주변에서는 폭풍이 몰아쳤다.
지혜를 빌릴 관료도, 일가친척도, 전례도 없었다.
체면을 버리고 외가에 매달리려 해도 이 폭풍을 만들어낸 코시카 여제는 그와 피 한 방울 섞이지 않았다. 처가인 하노버는 일개 공국으로서 기댈 곳이 못 되었고, 키옌으로부터 뻗어나온 분가들은 언제 목이 날아갈까 엎드려 숨을 죽였으며 외가의 외가, 즉 소피야 황후의 친정은 예전에 대가 끊긴 작센-슈바이크였다.
전 세계를 통틀어 폐하라 불릴 수 있는 왕은 채 서른 명도 되지 않는다. 그리 귀한 왕관을 썼는데도, 밭을 휩쓰는 폭풍우를 마주한 일개 필부처럼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듯했다.
고작 한다는 것이 수십 년 전 코시카 황궁을 뛰쳐나온 이모에게 매달리는 일이었다. 심지어 그가 부른 것도 아니었다. 몇 날 며칠을 잠들지 못하고 머리를 쥐어뜯는 남편을 보다 못한 빌헬미네가 시이모를 초대해서 그의 앞에 앉혀 놓았다.
"이모님의 식견을 빌려주십시오."
"내게 무슨 식견이랄 것이 있을까."
여공이 비웃었다.
"손녀 아이 하나 시녀로 밀어넣는 데에도 온갖 재주를 다 부려야 했던 나란다. 내가 뭘 할 수 있겠니."
조금 더 빌어보라는 것이다.
코시카의 마리야 이바노브나 여공. 안나 1세의 손녀이며 이반 3세와 소피야 여제의 장녀. 체사레브나였으나 사랑 때문에 그 모든 것을 버리고 도주한 여자. 그러면서도 자존심 하나만큼은 눈동자보다 새파랗다. 과거에 비하면 비참할 정도로 영락했는데도 이 이모는 항상 허리며 목이 꼿꼿했다.
자연스레 한 소녀가 떠올랐다. 눈도 파랗지 않고, 얼굴은 조금도 닮지 않았지만 허리가 이모-그녀에게는 고모-와 판박이처럼 곧던. 이반 3세의 손녀이며 마리야 여공의 조카이며, 그의 사촌인, 역시 체사레브나였던 소녀. 후계자 자리에서 쫓겨나 팔려가듯 시집가는데도 그녀는 이를 데 없이 오만했다.
코시카 황제는 무오하다.
따라서 그 후계자는 자신이 무오한 존재가 되리라고 교육받는다.
태고로부터 내려온, 가장 강력한 가문의 뿌리가 부여한 자긍심은 그토록이나 강력한가?
만일 그렇다면, 그는, 작센은 여태 실뿌리 하나 얻지 못한 것이다.
"이모님. 조카가 이렇게 빌겠습니다."
빌헬름은 본능적으로 알고 있었다.
무엇을 원하느냐는 협상은 무용하다. 남편이 죽고, 아들이 죽고, 부레옥잠이라도 된 듯 세상에 관심이 없어진 이모였다. 하나 뿐인 손녀가 기댈 자리를 찾은 뒤에는 죽어도 된다는 허락이라도 받은 양 얼굴이 맑아졌다. 당조카 되는 앤 레르헨펠트의 남편에게 레르헨펠트 궁정백의 작위를 승인하겠다는 약속을 들이미는 것도 추했다. 그저 죽은 어머니가 이모의 여동생이라는 사실에 매달려 한 조각 지혜라도 빌려달라 매달렸다.
"어릴 적 어머니를 잃지만 않았더라면 이리 매달리지도 않았을 것입니다. 이 조카에게 이모님은 어머니나 다름없다 여겨왔습니다."
"그래서?"
여공이 빙그레 웃었다.
"아버지에게 쫓겨나고 떠도는 나와 내 아들을 받아주었다 생색이라도 내는 것이냐? 어머니나 다름없이 모셔 네 사촌에게 백작위 씩이나 주었으니 감격에 겨워 무릎이라도 꿇고 아는 것을 줄줄이 뱉어내랴?"
"당치 않으신 말씀입니다. 그저 가여이 여겨주십시오. 이 조카가 그리 탐탁찮으시다면, 이모님의 여동생의 손녀딸인 조피를 생각해주십시오. 고작 열한 살입니다, 이모님."
"궁은 좋은 곳이란다."
'궁전'.
아무 수식어도 붙지 않은 그 단어야말로 가장 자긍심 넘치게 코시카 황궁을 이르는 말이었다.
"키옌의 독수리들에게 있어서 가장 안락한 둥지지. 조피에게도 유학은 좋은 기회가 되지 않겠니? 지금쯤 친척이 바글바글할 테니 말이다."
빌헬름은 기어코 어금니를 물었다.
코시카의 옐리자베타 여대공을 어머니로 둔 덕에, 작센 국왕 프리드리히 1세 빌헬름과 그의 자녀들은 코시카 황위 계승권을 가지고 있었다. 시집을 가면서 계승권을 포기한 옐레나 파블로브나 여대공과 달리, 옐리자베타 이바노브나 여대공은 계승권을 말소하지 않은 채 작센 땅에 내려앉아 자식을 낳았다. 아무리 그렇다고는 해도, 빌헬름과 조피는 키옌이 아닌 위튼이었으며, 코시카 황족이 아닌 작센의 왕족이었다.
아름다운 사촌 여동생이 그에게 허리 숙이지 않았듯, 코시카의 귀족들은 빌헬름에게 무릎 꿇어 충의를 재확인할 의무가 없었다.
-위대한 이반 3세 폐하의 손자이시며, 옐리자베타 여대공 전하의 장자이시며, 작센의 국왕이신 프리드리히 1세 빌헬름 폐하와 장녀이신 고귀한 조피 도로테아 공주 전하께 영원토록 영광 있으시기를.
바로 그렇기에 코시카 대사가 알현실에 들어와서 '무릎을 꿇은' 순간, 빌헬름은 옥좌의 손잡이를 움켜쥐었다. 식은땀이 목을 타고 흘러내렸다. 쓰게 웃으며 덮어버린 편지의 내용이, 나지막한 소녀의 목소리로 화해 귓가에 왱왱 울렸다.
-친애하는 사촌. 나는 키예나의 딸입니다. 돌려 말하는 재주는 우리 둘 모두의 경애하는 조부이신 이반 3세 폐하로부터 배운 바 없습니다. 예측이 틀려 조롱당할까 두려워하며 펜을 꺾는 것보다 어리석은 광기의 오명을 뒤집어쓰는 것이 더 쉽다 여긴 탓에 이 글을 적습니다.
'어리석은 광기의 오명.'
편지는 정말 그 구절이 아니면 요약하기 어려웠다. 편지의 발신인은 고의적으로 추론의 몇몇 과정을 누락시켰고, 빌헬름이 충격적으로 받아들일 만한 결과만을 남겨놓았다. 빌헬름이 그 편지를 읽자마자 헛웃음을 지으며 책상 위에 팽개친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내 어머니, 옐레나 1세 폐하께서는 조피를 코시카로 유학보내달라 하실 겁니다.
평생을 통틀어 단 며칠 동안 만났을 뿐인 빌헬름의 외종사촌 여동생은 분명 제법 조숙한 소녀였다. 본인이 당한 무례를 바탕으로 대가를 받아낼 줄 아는. 그렇다해도 고작 열여덟 살이었다. 상상력을 발휘해 적은 소설을 단순히 잘난 체 하기 위해 사촌 오라비에게 보낼 수 있을 법한 나이다.
-사촌에게 이유를 자세히 설명할 필요는 없겠지요. 어린 빌헬름보다 조피를 원하시는 것은 당연한 일이니까요.
사실, 빌헬름에게 있어서는 전혀라고 할 만큼 당연하게 느껴지지 않았다. 조피는 사랑하는 어린 딸이었다. 계승권이 없으니 언젠가 다른 나라로 시집 가 행복하게 살도록 어여삐 키우는 작은 아이.